
2024년 상반기 IBK기업은행 신입행원 채용 디지털 직무로 지원했습니다!
필기 시험 합격 후기를 간단히 적어볼까 합니다!
시험 개요
시간 : 120분
문제 수 : 75문제 (1문제당 약 1분 30초만에 풀어야함)
문제 구성
- 직업기초 40문제 (1.5점)
- 직무수행 객관식 30문제 (1점)
- 직무수행 주관식 5문제 (2점)
우선, 지금까지는 디지털이라는 이름으로 IT와 디지털을 함께 뽑았다면, 이번 공채부터 디지털과 IT를 분리해서 채용하게 되었습니다. 그에 따라 필기, 실기 시험에 차이가 생겼습니다. 이 점을 잘 인지하고 필기와 실기를 준비해야할 것 같습니다.


새로운 디지털 분야는 필기시험 직무수행 영역에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분석, 인공지능 모델링, 블록체인, 시사 주로 총 5과목이 주로 출제됨을 알 수 있습니다!
기존의 디지털 분야는 전산학(소프트웨어공학,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정보보안, 운영체제 등)도 필기 시험 범위에 있었지만, IT와 디지털로 분리되면서 전산학 중에서 데이터베이스만 출제되는 것 같습니다ㅏ
내 상황
제 상황과 비교해보면서 필기시험 공부 시간을 가늠해보시라고 제 상황을 적어보겠습니다!
우선 ADsP, SQLD 자격증이 있었습니다!
빅분기나 ADsP에 나오는 머신러닝, 딥러닝, 데이터 지식은 어느정도 갖추고 있었고,
프로그래머스 SQL 문제들을 다 풀어봤었기 때문에, SQL 쿼리에 대한 이해도 갖추고 있었습니다
-> 직무수행 과목 중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분석, 인공지능 모델링에 대한 준비는 이미 되어있는 상태
블록체인에 대한 지식은 전무 했습니다. 또한, 시사에 대한 지식은 취준생 생활을 하며 면접 준비를 통해 쌓인 지식들만 있을뿐, 시사 지식을 쌓기 위한 공부는 해본적 없었습니다.
-> 직무수행 과목 중 블록체인, 시사에 대한 준비는 거의 노베이스 상태.
NCS 공부를 해본적은 한 번도 없었습니다. 문제 유형조차도 모르는 상태였기 때문에 이 부분은 100% 노베이스였습니다.
-> 직업기초 노베이스 상태
공부 기간
3월 둘째주부터 4월 27일(토)까지 약 7주 정도 기업은행 필기시험을 위해 공부했습니다!
인턴과 학업을 진행 중이 아니었고, 전업 취업준비생이었기 때문에 하루종일 공부에 시간을 쏟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평일에는 점심부터 밤늦게까지 독서실을 다녔고, 주말에는 주로 쉬었습니다
그런데 다른 기업 자소서, 면접 준비, 코딩테스트 준비도 병행했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기업은행 필기시험만을 위해 쓴 시간은 4주 정도 되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공부 방법
1. 직무수행
자신이 있던 직무수행 과목(데이터베이스, 데이터분석, 인공지능 모델링)은 시간을 많이 투자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여, 필기시험 전날에 빅분기 필기 교재 개념 1회독만 진행했습니다.
블록체인은 따로 공부하지 않았습니다. 시험에 많이 출제되지 않을 것이라 예상했고, 새로 공부하기에 너무 시간이 많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시사는 얇은 책 한 권 사서 하루 이틀만에 빠르게 읽어보고 따로 준비는 하지 않았습니다.

2. 직무기초
NCS 준비가 처음이라 일단 기업은행 대비 문제를 풀기 전에 기본적인 감부터 잡아야겠다고 생각해서
요거 사서 우선 다 풀어봤습니다!

시간은 딱히 신경쓰지 않았고, 그냥 이런 문제들이 나오는구나.. 이런 문제는 이렇게 풀어야겠구나 생각하면서 쭈욱 풀었습니다.
그 이후에는 기업은행 필기 대비 시중 문제집 2권 풀었습니다 ! 여러개가 있었는데 다 거기서 거기일거라고 생각해서, 자세히 알아보지는 않고 그냥 SD에듀 거 풀었습니다!

시험 복기
1. 직무수행
- 블록체인, 시사 문제는 거의 안나온다. 35문제 중 체감상 4-5문제정도 였던 걸로 기억. 따로 준비 필요 없을듯
- 인공지능 모델링, 데이터분석 과목은 빅분기 필기 교재만으로 충분히 대비가 가능하다! 단, 교재 초반에 암기가 필요한 영역과 데이터 시각화 영역은 기업은행 필기에 출제되지 않았으므로, 머신러닝 딥러닝에만 집중할 것.
주로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고 있다면 충분히 풀리는 문제들이었음.
기억나는 문제
- svm 초평면을 직선의 방정식으로 적절히 표현한 것은?
- 혼동행렬 각각 계산하기
- train, validation loss 변화 그래프 주고 다음과 같은 현상은 무엇인지?
- 산점도 주고, k-means 알고리즘을 실행하면 군집이 변화하는 데이터는 무엇인지?
- 랜덤샘플링, 라쏘, 원핫 인코딩 등등..
- 데이터베이스 과목은 SQL 코드만 이해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데이터베이스 설계, 최적화 등 이론적인 영역의 문제는 출제되지 않았음.
기억나는 문제
- 데이터 테이블 before, after 주고 적절한 sql 코드는?
- select 문 여러개 주고, 다음 중 문법이 잘못된 sql 코드는?
- null 값이 포함된 avg 계산
- 주관식은 일반적인 주관식 문제가 아니라, ㄱ,ㄴ,ㄷ,ㄹ,ㅁ.. 보기 중에 골라서 기호를 적는 문제.
2. 직무기초
크게 특이한 유형은 없었음. 기업은행 필기 대비 문제집 풀어봤으면, 예상이 가능한 수준.
기억나는 문제
- 잡다한 수리 계산 많이 나옴
- 금융관련 자료(금융 상품 설명서, 금융 상품 약관, 관련 법 개정안) 읽고, 일치 불일치 추론 문제 많이 나왔음
시험 전략
디지털은 커트라인이 60점 초반이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71점으로 합격했습니다.
제가 취했던 전략은 우선 확실히 맞출 자신이 있었던 직무수행 영역부터 빠르게 다 풀어버리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직무기초 영역을 60-70% 정도 풀고 나머지는 3번으로 밀었습니다. 저는 빠르게 풀다보면 오답률이 가파르게 올라가는 타입이기 때문에, 시간은 좀 걸리더라도 확실히 정답을 맞추기위해 노력했고 그러다보니 60-70% 정도만 풀었던 것 같습니다 ㅜ
하지만 커트라인이 생각보다 높지 않아서, 속도보다 정확도에 초점을 두는 전략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 직무기초 영역이 양도 많고, 100점 만점 중 60점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시험장에서는 직무기초에 우선적으로 집중하는 전략도 좋은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끝!!
디지털과 IT가 분리된 후 첫 필기시험이다보니 자료가 없어서 힘들었는데, 앞으로 기업은행 준비하시는 분들에게는 이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작성해봤습니다:)
'취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상반기 IBK기업은행 신입행원 채용][디지털] 최종면접 합격 후기 (9) | 2024.06.16 |
---|---|
[2024년 상반기 IBK기업은행 신입행원 채용][디지털] 실기시험 합격 후기 (84) | 2024.06.15 |
현직자 데이터 사이언스 직무 경험 공유 스토리 (0) | 2023.01.31 |